텔넷 서버
텔넷은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 접속 방법으로, 오래된 방법이다 보니 보안 등에 취약하기에 텔넷에 보안 기능을 더해 사용한다. 가장 기본적인 원격 접속 방법
텔넷 서버 개요
텔넷을 사용하려면 리눅스에 텔넷 서버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원격지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PC에는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telnet, putty 등)
OpenSSH 서버 개요
텔넷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암호화를 하지 않아 해킹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가 OpenSSH이다.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전송한다.
OpenSSH 서버 구축
OpenSSH 서버 구축 실습
Server 가상머신에서 SSH 서버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중인지 확인한다.
rpm -qa openssh-server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systemctl status sshd #서비스 가동 여부 확인
Client의 터미널에서 ssh <사용자이름>@<호스트이름> 또는 ssh<사용자이름>@IP주소 명령을 입력해 SSH 서버에 접속한다. ifconfig 명령으로 Server의 IP인 192.168.111.100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Server의 가상머신에 접속하였다.
이제 Windows에서 Server 가상머신의 SSH 서버로 접속한다.
putty를 다운로드하고 putty.exe를 실행한다.
Server 가상머신의 IP 주소를 입력하고 포트번호 22번, 연결 형식은 SSH로 선택한다. 열기를 누른다.
teluser 사용자로 로그인한다. 이제 Windows에서 Server 가상머신 접속이 가능하다.
출처: 이것이 리눅스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AID, Linear RAID, RAID 0 1 5 6 개념 바로잡기 리눅스 (0) | 2024.05.14 |
---|---|
[Linux] 디스크 장착해 사용해보기, mount 마운트 실습 리눅스 (0) | 2024.05.14 |
[Linux]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습 bg fg (0) | 2024.05.13 |
[Linux] grep 명령어 안 될때, grep 오류 해결 방법 (1) | 2024.05.13 |
[Linux] sed 명령어 예시 해석 (0)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