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이란?
라우팅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약 또는 알고리즘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은 송신자 컴퓨터에서 목적지 컴퓨터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이러한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통과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RIP(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RIP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네트워크 내의 라우팅 정보를 공유하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RIP의 특징
1. **거리 벡터 알고리즘**: RIP는 각 라우터가 자신의 인접 라우터에게 라우팅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합니다. 각 라우터는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는 최소 비용을 추적하고 이 정보를 주변 라우터에게 전파합니다.
2. **호핑 수 제한**: RIP는 최대 호핑 수를 15로 제한합니다. 즉, RIP로 인해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은 최대 15개의 라우터를 거쳐야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라우팅 루프를 방지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3. **주기적인 업데이트**: RIP 라우터는 일정한 간격(보통 30초)마다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주변 라우터에게 전송하여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공유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4. **단점**: RIP는 라우팅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거나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증가할수록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의 업데이트가 느리고 루프 현상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패킷트레이서 실습
통신을 위해 라우터 간 같은 ip 사용
Config의 RIP탭에서 근처 ip 네트워크 주소 입력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ACL, NAT (0) | 2024.05.03 |
---|---|
[Network] 패킷 트레이서 DNS (0) | 2024.05.02 |
[Network] Gateway란? (0) | 2024.04.30 |
[Network] 패킷트레이서 라우터 DHCP 설정하기 (0) | 2024.04.30 |
[Network] DHCP 이해하기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