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4단계
- Discover: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를 찾기 위한 메시지이며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며 수신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IP 주소를 목적지로 ICMP echo를 전송하여 IP 중복 문제를 해결한다.
- Offer: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정보 관련 사항을 응답하는 메시지이며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한다.
- Request: 서버가 제공하는 IP 주소 정보를 사용할 것이라는 요청메시지. 브로드캐스트 사용.
- Ack: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정보를 최종으로 허가하는 메시지.
------------------------------DHCP----------------------------
DHCP(config)#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0.200 192.168.10.254 (할당 제외 범위 IP)
DHCP 서버에게 192.168.10.200부터 192.168.10.254까지의 IP 주소 범위를 자동 할당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합니다. 즉, 이 범위 내의 IP 주소는 DHCP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할당되지 않는다.
DHCP(config)#ip dhcp pool test-dhcp
'test-dhcp'라는 이름의 DHCP 주소 풀을 생성합니다. 주소 풀은 DHCP 서버가 네트워크 장치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주소 범위를 말한다.
DHCP(dhcp-config)#network 192.168.10.0 255.255.255.0 (할당 범위)
이 명령어는 DHCP 주소 풀에 대한 네트워크의 IP 주소 범위와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192.168.10.0 네트워크에 대한 255.255.255.0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192.168.10.1부터 192.168.10.199까지의 IP 주소를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앞서 설정된 제외 범위를 고려).
DHCP(dhcp-config)#default-router 192.168.10.254 (게이트웨이 IP)
DHCP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할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이 예에서는 192.168.10.254 주소가 기본 라우터, 즉 게이트웨이로 설정되었습니다.
DHCP(dhcp-config)#dns-server 168.126.63.1 (dns 서버 IP)
DHCP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DNS 서버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168.126.63.1 주소가 DNS 서버로 설정되었습니다.
DHCP(dhcp-config)#domain-name test.com (도메인 네임)
DHCP 클라이언트가 속하게 될 도메인 이름을 설정합니다. 이 경우, 'test.com'이 도메인 이름으로 설정되었습니다.
DHCP(dhcp-config)#lease infinite (임대기간)
DHCP 주소 풀에서 IP 주소를 할당받은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임대 기간을 무한대로 설정합니다.
DHCP(dhcp-config)#exit
DHCP 설정 모드에서 나와 이전 모드로 돌아갑니다.
DHCP(config)#interface fa 0/0
구성을 진행할 인터페이스를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fa 0/0'이라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선택합니다.
DHCP(config-if)#no shutdown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며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no shutdown'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인터페이스가 꺼져 있을 때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켭니다.
DHCP(config-if)#ip add 192.168.10.253 255.255.255.0
인터페이스에 IP 주소(192.168.10.253)와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를 설정합니다. 이 IP 주소는 DHCP 서버 자체의 IP 주소로, 네트워크 내에서 이 서버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확인
DHCP#show ip dhcp binding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패킷트레이서 RIP (0) | 2024.05.02 |
---|---|
[Network] Gateway란? (0) | 2024.04.30 |
[Network] DHCP 이해하기 (0) | 2024.04.30 |
[Network] LAN 바로잡기 (1) | 2024.04.30 |
[Network] MAC주소, ARP 바로잡기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