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IP, 서브넷 알아보자
IP란?
IP(Internet Protocol)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 (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IP 주소에는 IPv4, IPv6 2가지 주소가 존재한다.
0.0.0.0 Network itself
255.255.255.255 Broadcast
127.0.0.1 Localhost
IP 주소 구성
IP는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로 구성된다.
Network ID: 모든 호스트를 관리하기 힘드므로 한 네트워크의 범위를 지정한 ID
Host ID: 각각의 호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
IP 주소 클래스
A Class | 주소 | 1.0.0.0 ~ 127.255.255.255 |
서브넷 마스크 | 255.0.0.0 | |
그룹별 호스트 개수 | 2^24-2 = 16,777,214 개 | |
B Class | 주소 | 128.0.0.0 ~ 191.255.255.255 |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 |
그룹별 호스트 개수 | 2^16-2 = 65,534개 | |
C Class | 주소 | 192.0.0.0 ~ 223.255.255.255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
그룹별 호스트 개수 | 2^8-2 = 256개 |
네트워크 주소 & 브로드 캐스트 주소
IP 주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두 가지 주소가 존재한다.
1. 가장 첫번째 호스트 주소 = 네트워크 자체 주소
2. 가장 마지막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 주소)
ex> 192.168.10.0 ~ 192.168.10.255 범위에서
192,168.10.0은 네트워크 자체를 가리키고 (호스트 아이디 모두 0)
192.168.10.255는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된다. (호스트 아이디 모두 1)
서브넷 (Subnet)
예를 들어 클래스 B를 어느 기업에 할당했을 경우, 만일 그 기업이 65000여개의 IP를 전부 사용하는 것이 아닌 10000개 정도만 쓴다고 가정한다. 이런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 네트워크 장치 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Subnet이 등장하였다.
서브넷: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되어 나눠진 작은 네트워크
서브넷팅: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구분자.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서브네팅 계산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에서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로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진수 숫자 1은 네트워크 주소, 0은 호스트 주소로 표시한다.
서브네팅 (Subnetting)
서브네팅이란 IP주소를 효율적으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다.
네트워크 성능 보장, 자원 효율적 분배를 위해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쪼개는 작업을 행한다.
1 2 4 8 16 32 64 128